1. 개요
만일 root권한으로 curl을 설치해야할 일이 생겼다고 가정해보자.
sudo apt install curl
su (계정전환) → apt install curl
이런 여러 방법으로 설치할 때가 있는데, 이들의 각각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2. sudo와 su의 차이점
sudo → 현재 계정에서 단순히 root의 권한만 빌린다.
root권한을 이용하여 접근 권한을 얻고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슈퍼유저로서의 액세스를 돕는다.
su → root계정으로 전환한다.
su(substisute user) 명령어는 로그아웃 없이,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을 가능하게하는 리눅스 명령어로,
파라미터가 없이 "su" 를 입력하면 "su root"와 동일하다.
su와 su - 는 root계정으로 전환한다는 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su 는 root계정의 환경변수를 가져오지 않고 현재 계정의 환경변수를 사용하게 될 것이고,
su - 는 root계정의 환경변수까지 모두 가져와서 root계정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su - 하시고 로그인을 하게 되면 기본 /root 디렉토리(directory)로 이동하게 된다.
(환경 변수를 가져온다는 의미이겠죠?)
아래는 su - 의 환경변수 일부이다. root의 환경변수까지 모두 가져오게 된다.
MAIL=/var/spool/mail/root
PATH=/usr/lib64/qt-3.3/bin:/usr/local/sbin:/usr/local/bin:/sbin:/bin:/usr/sbin:/usr/bin:/root/bin
PWD=/root
아래는 su 의 환경변수 일부이다. user라는 계정의 환경변수를 가져오게 된다.
MAIL=/var/spool/mail/user
PATH=/usr/lib64/qt-3.3/bin:/usr/local/bin:/bin:/usr/bin:/usr/local/sbin:/usr/sbin:/sbin:/home/user/bin
PWD=/home/user
+추가로 "su"와 "sudo su"의 차이는
su: root계정의 패스워드가 필요.
sudo su: 현재 로그인 된 계정의 패스워드가 필요.
#References
https://jootc.com/p/20170122130
Linux에서 sudo, su, su - root 명령어의 차이점 - JooTC
먼저, sudo는 현재 계정에서 단순히 root의 권한만 빌리는 것입니다. root권한을 이용하여 접근 권한을 얻고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슈퍼유저로서의 액세스를 돕습니다. 반면 su는 현재 계정에
jootc.com
리눅스(Linux) su / su - / sudo 명령어, 차이
리눅스 (Linux)에서 특정 명령을 실행하거나,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서 때로는 루트 (root)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 su / su - / sudo 명령어들과 각 명령어들
gxnzi.tistory.com
https://infosecguide.tistory.com/88
sudo su, su 차이점
□ su(substitute user) ○ 로그아웃 없이,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을 가능하게하는 리눅스 명령어 ○ 파라미터가 없는 "su"는 "su root"와 동일(=root 계정으로 로그인) ○ 로그인 하려는 계정의 패스워드가
infosecguide.tistory.com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do와 vi /etc/sudoers 의 차이점 (0) | 2021.12.23 |
---|---|
특정 유저로 sudo명령어가 안될때 (XXX is not in the sudoers file.) (0) | 2021.12.22 |
라우팅(Routing)이란?, 리눅스 라우팅 설정 (0) | 2021.12.13 |
리눅스 에러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frontend (0) | 2021.12.07 |
리눅스 네트워크 포트 상태 확인 (0) | 2021.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