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해와 차별점

범데이 2025. 3. 13. 18:30

이미지 출처: https://www.atlassian.com/microservices/cloud-computing

 

1. 클라우드의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은 물리적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컴퓨팅 리소스를 할당받을 수 있으며, 이는 자동화된 자원 관리, 확장성, 고가용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프라스트럭처(IaaS), 플랫폼(PaaS), 소프트웨어(SaaS)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2. 일반적인 가상화와의 차별점

일반적인 가상화는 단일 하드웨어 상에서 여러 개의 가상 머신(VM)을 운영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한 대의 PC에서 여러 VM을 띄워 자원을 분할하는 것은 가상화의 한 예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은 단순히 가상 머신을 띄우는 것을 넘어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 자원 폴링: 여러 물리적 서버의 자원을 하나의 통합된 풀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받을 수 있다.

- 자동화된 관리: 자원 할당, 모니터링, 장애 복구 등이 자동화되어 관리 부담을 크게 줄인다.

- 확장성과 유연성: 사용량에 따라 자원을 유연하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대규모 환경에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3. 대규모 클러스터 환경의 중요성

여러 노드가 연결된 대규모 클러스터 환경은 진정한 클라우드 환경을 구현하는 핵심이다. 단일 서버에서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클러스터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자원 풀링 및 분산 처리: 여러 서버의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 모든 자원을 하나의 큰 풀로 통합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라 최적의 자원을 배분한다.

- 고가용성과 내결함성: 한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노드가 그 역할을 대신하여 서비스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다.

- 동적 자원 할당: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을 통해 자원 배분과 부하 분산이 자동화되어, 사용자에게 항상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4. 혼동되기 쉬운 개념들

클라우드 컴퓨팅과 가상화는 자주 혼동되지만, 두 개념은 목적과 기능 면에서 구분된다.

 

- 가상화: 물리적 자원을 분할하여 여러 가상 머신을 운영하는 기술이다. 단일 서버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자원 분할에 초점을 둔다.

-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 기술을 바탕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온디맨드 서비스, 자원 자동 관리, 확장성, 고가용성 등의 요소를 추가한 종합적인 서비스이다. 또한, 클라우드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스토리지 가상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어, 단순 가상화와는 구별된다.

 

 

5. 결론

클라우드 컴퓨팅은 단순히 가상 머신을 띄우는 가상화 기술을 넘어서, 자동화된 자원 관리, 확장성, 고가용성, 자원 폴링 등 여러 핵심 기능을 통합한 서비스이다. 대규모 클러스터 환경을 통해 다양한 물리적 자원을 하나의 통합된 풀로 구성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존의 단순 가상화와 뚜렷하게 차별화된다.

728x90
반응형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테이너와 가상머신의 차이점  (0) 2021.08.12